최근 하이패스 단말기를 구매하면서 IR (적외선)과 RF (무선주파수) 방식의 차이점을 비교,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이패스 단말기 타입별 설치 위치, 전력 소비량, 통신 방식 등 실사용자의 관점에서 각각의 장단점을 정리해서 공유합니다.
들어가며
요즘 자동차를 구매할 때 많은 분들이 룸미러 하이패스 단말기를 옵션으로 선택합니다. 따라서 신형 차량의 경우에는 별도의 하이패스 단말기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구형 자동차 혹은 옵션을 많이 넣지 않은 차량을 운전하시는 분들은 별도의 하이패스 단말기를 구매하곤 합니다. 물론, 조금 불편해도 요금소에서 그냥 현금으로 지불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
저는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빈도가 높지 않아 그동안 조금 불편해도 하이패스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지난달 지방에 갈 일이 생겨서 고속도로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좀 먼 곳이라서 여러 번 톨게이트를 지나게 되면서 느낀 점이 있습니다.
즉,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으면 불편한 점도 있지만 위험할 수도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톨게이트에서 통행권을 뽑을 때나 통행료를 현금으로 지불할 때 오른쪽 차선으로 가야 하는데 요금소로 이어지는 차선이 직선이 아니다 보니 매번 헷갈리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때에 따라서는 급히 차선을 변경해야 되더군요. 이 과정에서 다른 차량과 부딪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혹시 다른 차량이 실수로 현금 지불 차선을 하이패스 차선으로 착각하고 내 차를 뒤에서 추돌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우려가 되었습니다.
이런 생각의 흐름으로 하이패스 단말기 구매를 결심하고 온라인 가격 비교 사이트를 들어가보니 제품 종류가 너무 많아서 선택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나름 자료를 찾아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하이패스 단말기의 두 가지 방식 : IR vs RF
하이패스 단말기는 크게 IR(적외선) 방식과 RF(무선 주파수) 방식으로 나뉩니다. 각 방식은 작동 원리와 특징이 다르며,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IR 방식 하이패스 단말기
IR 방식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톨게이트의 안테나와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마치 TV 리모컨과 같은 원리로 작동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IR 방식의 장점
- 낮은 전력 소비 : IR 방식은 전력 소모가 적습니다. 따라서 전원선 연결 없이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혹은 태양광 충전이 가능한 제품이 많습니다.
- 간섭 최소화 : 주파수 간섭이 거의 없어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 금속 영향 없음 : 차량의 금속 틴팅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IR 방식의 단점
- 설치 위치 제한 : 톨게이트 안테나와 직선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앞 유리창 정면 설치가 권장되는데 눈에 거슬릴 수가 있습니다.
- 환경 영향 : 날씨나 장애물에 따라 통신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2. RF 방식 하이패스 단말기
RF 방식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톨게이트의 안테나와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라디오와 유사한 원리로 작동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RF 방식의 장점
- 설치 위치 자유로움 : 차량 내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합니다. 때문에 조수석의 글로브박스 (다시방이라고도 하죠. 😊)에 넣어 놓아도 됩니다.
- 높은 안정성 : 환경이나 날씨의 영향을 적게 받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 빠른 수신율 : 통신 속도가 빠르고 수신율이 높습니다.
▶ RF 방식의 단점
- 높은 전력 소비 : IR 방식에 비해 전력 소모가 큽니다. 때문에 전원선을 연결해야 합니다.
- 금속 영향 : 차량의 금속 틴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IR vs RF 방식 비교표
위의 내용을 표로 다시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특징 | IR 방식 | RF 방식 |
통신 방식 | 적외선 | 무선 주파수 |
설치 위치 | 제한적 (앞유리, 대시보드) | 자유로움 (글로브박스 등) |
전력 소비 | 낮음 | 높음 |
환경 영향 | 받기 쉬움 | 적음 |
금속 영향 | 없음 | 있음 |
수신율 | 직선 시야 확보 시 높음 | 전반적으로 높음 |
전원 공급 방식 | 태양광, 배터리 가능 | 주로 유선 |
하이패스 단말기 선택 가이드
이런 내용을 종합하면 아래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하이패스 단말기를 구입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나는 단말기가 앞 유리창에 있으면 보기가 싫다 → 차량 내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RF 방식이 유리.
- 나는 전원선이 연결된 단말기가 거추장스러워서 싫다 → IR 방식의 배터리 사용 혹은 태양광 충전 제품을 고려.
- 내 차에는 유리창에 틴팅이 되어 있다 → 금속 성분이 많은 틴팅이 되어 있는 경우, IR 방식이 더 안정적.
- 나는 인식이 잘 되고 안정적인 단말기를 원한다 → 인식률, 안정성이 높은 RF 방식이 유리.
- 나는 단말기에 돈을 적게 쓰고 싶다 → 일반적으로 IR 방식이 RF 방식보다 저렴. 중고품 구매도 고려.
중고 제품 구매 및 전원
저는 하이패스를 자주 이용하지는 않지만 안정적이면서 설치 위치가 자유로운 RF 타입을 사기로 마음먹었습니다. 그리고, 하이패스 단말기에 대해 조사하면서 원래는 신품을 구매하려던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사용 원리상 그렇게 자주 고장이 나는 제품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당근마켓 앱에 '하이패스' 키워드를 등록해 놓고 며칠 기다려 보았습니다. 우리 동네에서는 거의 매일 1~2건의 하이패스 단말기 판매글이 올라왔습니다. 가격대는 1~3만원 정도였습니다.
저는 그중에서 RF 타입의 단말기를 1만원의 가격으로 저렴하게 살 수 있었습니다. 아마 신차 구매 시 사은품으로 받은 것이라서 가격이 싼 것 같았습니다.
원 주인의 이야기로는 USB 전원을 연결해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실제로, USB 케이블 연결 시 공급되는 전력량 (W)을 측정해 보니 1.2W 수준이네요. 인터넷에서 하이패스 단말기의 전력 소비량을 조사해 보니 대개 1~2W 수준이라고 합니다.
자동차 동호회의 글을 보면, USB 전원 케이블 연결 시 무한 리부팅되거나 혹은 하이패스 결제가 안되는 경우도 간혹 있다고 합니다. (특히 자동차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는 겨울철에 자주 발생한다고 하네요.) 따라서 좀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원하시면 12V 시거잭 전원 케이블을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저는 좀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서 12V 시거잭 전원 케이블을 추가로 구매했습니다. 집에 원래 시거잭 케이블이 하나 있었는데, 연결 단자 크기가 3.5파이로 맞지 않네요. 제가 산 단말기는 2.5파이가 맞습니다.
차 안에서 테스트해 보니 둘 다 잘 되긴 합니다. 하지만, 시거잭 케이블이 좀 더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해 줄 것입니다. 상황을 봐서 USB 혹은 시거잭 케이블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IR 방식의 단말기에는 당연한 것이지만, RF 방식의 단말기도 놓는 방향이 중요합니다. 안테나라고 적혀 있는 쪽이 위를 보게 해야 합니다.
마무리와 팁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IR과 RF 방식 모두 장단점이 있으므로, 개인의 사용 환경과 선호도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속도로 이용 빈도, 차량 내부 구조, 전원 공급 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세요.
국산차의 경우 대부분 RF 방식의 하이패스 룸미러를 옵션으로 제공하므로, 신차 구매 시 이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어서 새로 구매하실 경우에는 중고품도 고려해 볼만합니다.
IR 타입의 경우, 설치 위치가 중요합니다. 가능한 전면 유리창 중앙 부분에 설치하는 편이 좋습니다. RF 타입의 경우,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해줘야 합니다. 좀 더 단말기의 안정성과 인식률을 높이려면 USB 전원 케이블보다는 시거잭 전원 케이블을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안전 운전하십시오.
'사용기 및 후기 > IT 및 전자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 아이콘 알림 숫자 없애는 간단한 방법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0) | 2025.01.01 |
---|---|
LG 세탁기 원격제어 세탁 설정 및 사용 방법 (1) | 2024.12.24 |
접점 불량 노후 리모컨 간단 수리 방법 (0) | 2024.12.23 |
D 사이즈 건전지를 AA로 대체하는 실용적인 방법 | 알리익스프레스 홀더 (0) | 2024.11.26 |
다이소 저가 마우스 패드 사용 후기 (1) | 2024.11.24 |